레이블이 hibernate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. 모든 게시물 표시
레이블이 hibernate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. 모든 게시물 표시

2014-10-06

JPA Entity와 Java 8

아직 하이버네이트에 대해서는 테스트해보지 않았지만, 이클립스링크에서 문제가 발생하므로,  비슷한 처리를 하는 하이버네이트에서도 똑같은 문제가 있을 것이다.

엔티티에 @OneToMany@ManyToMany로 컬렉션(List, Set, Map) 필드가 있을 때, 이 필드가 wrapper로 세팅되어있을 경우 (이클립스링크의 경우 IndirectList, IndirectSet, IndirectMap) 일부 Java 8 기능이 먹지를 않는다.

특히 가장 중요한 stream이 동작하지 않는다.
Aㅏ... 망했어요.
이보시오, 이보시오! JPA양반! 그게 무슨 소리요! Stream이 고자라니!

뭐 별 거 있나, wrap 된거를 꺼내오거나 그냥 새로운 컬렉션을 만들어서 값을 복사해서 쓰면 된다.
참 쉽죠? 너무 쉬워서 예제 따위는 없어요.



뱀발:
엔티티 내부에 Java 8 기능을 우겨넣으면 씐나게 로딩하다가 에러가 날 것이다.
아쉽게도 JPA는 Java 8 기능이 들어간 엔티티는 엔티티로 취급하지 않는다 (...)

물론 그런건 별도의 클래스로 분리해 놓고 써먹으면 그만이다.
Share:

2014-03-10

JPA - Hibernate Specific WTF Rules

JPA 구현 중 가장 널리 쓰이는 것들이 EclipseLinkHibernate이다.
JPA 2.0 이후로는 EclipseLink가 레퍼런스 구현임에도 일단 한국에서는 EclipseLink보다는 Hibernate를 더 많이 쓰는데, Hibernate가 아무래도 역사도 오래됐고 속도는 느리지만 그만큼 편의기능이 많아서 그렇지 않나 싶다.
한국에서 EclipseLink 미는 사람은 저밖에 없는듯?

여기서는 Hibernate 특유의 정신나간 특징들을 내 맘대로 (...) 찝어보겠다.
  1. SEQUENCE를 지원하지 않는 DBMS(예를 들면 MSSQL이나 MySQL)를 타겟으로 @GeneratedValue(strategy = GenerationType.SEQUENCE)를 사용하면 좆된다.
  2. Spring에서 엔티티를 @SessionAttribute로 물릴 경우 @ElementCollectionfetch 속성을 EAGER로 설정해야 한다.
    안그러면 나중에 엔티티 값을 수정할 때 초기화 되지 않았다고 뭐라 그런다.
  3. @ElementCollectionfetch 속성을 EAGER로 설정했으면 Hibernate에서 제공하는 @Fetch로 긁어올 방식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.
    안붙여주면 처음 실행할 때부터 테이블 Alias가 없네 하면서 정신줄 놓는다.
일단은 여기까지.
더 밝혀낸 것이 있으면 계속 업데이트될 지도 모른다.
Share: